FORUM
블로그
다면평가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참여자에게 어떤 교육이 필요할까요?
- 2023-06-01
- 297
성공적인 다면평가 운영을 위한 step 3
평가자와 평가대상자 교육
다면평가를 시행하면서 많은 조직에서 교육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건강하고 효과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 전과 후에 각각 평가자 입장과 평가대상자 입장에서 어떤 자세로 평가를 수행하고 또 평가 결과를 해석할지 충분한 이해와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매우 필요합니다.
[관련 글] 회사에 다면평가를 실시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계획하면 좋을까요?
만약 사전, 사후 교육이 미흡할 경우 부정적 피드백에 대해서는 평가대상자가 부정(denial), 회피(evasion), 합리화(rationalization), 통제(control), 행동화(acting-out), 수동-공격(passive-aggressive), 반동 형성(reaction formation) 등 다양한 방어기제를 동원하기도 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예방 교육이 필요합니다.
방어 기제 |
대표적 생각 또는 행동 |
부정(denial) |
"이 사람들이 나를 잘 모르네"하며 틀렸다고 함 |
회피(evasion) |
"기분 나쁘니까 나중에 생각해 봐야지"하고 미룸 |
합리화(rationalization) |
"내 상황에서는 이게 최선이야"라며 정당화함 |
통제(control) |
"도대체 누가 이런 피드백을 한 거지?"하며 찾아 나섬 |
행동화(acting-out) |
"오늘 팀원들 전부 남으라고 해!"하는 식의 감정 표출 |
수동공격(passive-aggressive) |
"골탕 좀 먹어 봐라"하고 간접적 방법으로 괴롭힘 |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
"정말 수고들 많았어요"하는 식의 과도한 관심과 친절 |
다면평가 시행 전에 평가자들에게 교육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평가자들에게는 다면평가의 목적과 절차에 대한 안내가 중요합니다.
- 다면평가란 무엇인가?
- 왜 조직이 다면평가를 도입했는가?
- 다면평가를 하면 평가자에게 좋은 점은 무엇인가?
- 내가 하는 평가의 익명성이 보장된다는 점을 어떻게 믿을 수 있는가?
- 누가 결과를 볼 것인가? 결과가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
- 나는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어떻게 피드백을 주어야 하는가?
- 나의 역할과 책임은 무엇인가?
- 일정 계획이 어떻게 되는가?
- 평가에서의 오류를 어떻게 피할 수 있는가?
- 평가가 공정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안전장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다면평가를 시행한 후에는 평가대상자들에게 먼저 교육을 하고 평가 결과를 알려주는 게 좋습니다. 교육 내용은 주로 피드백 수용 방법, 다면평가의 내용과 결과 해석, 향후 개선 방법 등입니다.
이 교육은 최소 30분은 확보되어야 하며, 충분한 질의응답을 포함해 2~3 시간 정도 진행해야 다면평가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어떻게 하면 피드백을 건설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가?
- 수행 개선 모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결과표에는 어떤 것들이 들어 있는가?
- 결과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 개인적 행동 계획(action plan)을 어떻게 작성하고 실행할 것인가?
- 어떻게 지속적으로 학습과 개선을 평가할 것인가?
다면평가 결과에 기반해서 개별 피드백이나 코칭을 하게 될 경우에는 평가대상자가 결과표를 충분히 숙고하고 음미한 후에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위와 같이 다면평가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그리고 결과 수용에 대해 조직이 충분하게 안내할수록 더 효과적으로 다면평가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종 검토: 김은지 컨설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