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검사마다 다르게 말하는 '외향성'
  • 2025-04-23
  • 79

 

  

밑줄 및 사진에는 URL이 포함돼 있습니다. 클릭하면 관련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AI Summary ]

 

 

 

많은 사람들이 '외향적'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활발하고 사교적인 이미지를 떠올리지만, 실제로는 그 의미가 사용하는 성격 이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MBTI, Big Five, HEXACO 세 가지 성격 이론을 통해 외향성을 살펴보겠습니다!

 

 

MBTI에서는 외향성(Extraversion)을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외향형은 말로 생각을 정리하고, 활동적인 환경을 선호하며,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에서 활력을 얻습니다. 반면 내향형은 혼자 있는 시간을 통해 에너지를 충전하고, 조용한 환경에서 깊이 있는 관계를 선호합니다. MBTI는 외향성과 내향성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사람의 성격을 네 가지 선호 지표로 유형화하지만, 외향성과 관련된 세부 행동 특성은 별도로 측정하지 않습니다.

 

 

Big Five 성격 이론은 외향성을 사회적 행동, 정서적 표현, 자극 추구 성향 등으로 포괄하는 넓은 성격 차원으로 정의합니다. 

이 모델은 사람의 성격을 다섯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각각을 6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체화합니다. Big Five의 외향성은 친밀감, 사교성, 주장성, 활동 수준, 자극 추구, 긍정 정서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개인의 사회성, 정서성, 에너지 수준을 보다 정교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HEXACO 모델에서도 외향성은 주요 여섯 차원 중 하나로 등장하지만, 구성 방식이 Big Five와는 다소 다릅니다.

HEXACO에서 외향성은 사회적 자신감, 대담함, 사교성, 활력 중심으로 정의되며, 하위 요소로는 사회적 자존감, 사회적 대담성, 사교성, 활기가 포함됩니다. 이 모델은 감정 표현이나 자극 추구보다는 사회적 자신감과 활기찬 태도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처럼 외향성에 대한 이해는 각 성격 이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사람의 성격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지만 말수가 적을 수 있고, 또 다른 사람은 주장성은 높지만 낯선 상황에서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직장에서는 외향적인 성향이 사교성인지, 주장성인지, 아니면 활동성에 가까운지를 구분하는 것이 협업 스타일이나 리더십 기대를 조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채용이나 팀빌딩 상황에서도 검사 결과의 숫자나 분류에만 의존하기보다는, 그 안에 담긴 외향성의 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국 성격검사는 관계를 규정하는 도구가 아니라, 관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나침반이 될 때 더욱 유용합니다. 외향성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다른 사람을 더 깊이 이해하고, 스스로에 대해서도 보다 정교하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 전체 글은 티스토리 참조: https://bschr.tistory.com/2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