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다면평가 주관식 응답,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으로 생생하게 읽자
  • 2025-09-04
  • 23



요즘 다면평가를 진행하다 보면 주관식 응답에 담긴 '생생한 조직의 목소리'를 어떻게 분석하고 활용할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고민을 한다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이라는 방법에 주목해 볼 만합니다.

 

주관식 답변은 점수로는 드러나지 않는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수백, 수천 개의 텍스트를 그냥 읽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때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면, 조직 구성원들이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이야기하는지, 또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관계망 속에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어떻게 분석할까?

 

 데이터 준비: 다면평가 주관식 응답을 원문 그대로 수집합니다.

 

 전처리: 불필요한 조사·어미 제거, 동의어 통합, 핵심 명사 추출을 합니다.

 

 키워드 동시출현 분석: 하나의 답변 안에서 함께 언급된 키워드를 찾습니다.

 

 네트워크 그래프화: 키워드를 노드로, 연결 빈도를 엣지로 표현하면 주요 주제와 문제 영역이 시각적으로 드러납니다.

 

Python의 NetworkX, 시각화 도구 Gephi 등을 활용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2.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 조직 강점/개선 포인트: 네트워크 중심 키워드가 조직의 핵심 가치와 문화적 강점을 보여줍니다. 동시에 주변부에 나타나는 “소통 부족” 같은 군집은 개선 과제를 시사합니다.

 

 문화적 특성 파악: 성과 중심인지, 협업 중심인지, 안정 추구형인지 등 조직 분위기를 객관적으로 읽어낼 수 있습니다.

 

객관적 리포트: 데이터 기반 분석은 경영진과 외부 고객에게 신뢰도 높은 보고서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3. 활용 팁

 

처음에는 Python + NetworkX로 출발해도 충분합니다. 이후 설득력 있는 시각화를 원한다면 Gephi로 옮겨 작업하면 좋습니다.

 

다면평가 주관식 응답은 단순한 텍스트가 아니라 조직의 ‘진짜 목소리’입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그 목소리를 체계적으로 읽어내 조직 진단, 개발 방향, 문화 이해에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혹시 지금 주관식 데이터를 그냥 읽고만 계신가요? 이제는 네트워크 분석으로 숨겨진 이야기를 발견해 보세요.

(AI요약)

 

 

[ 전체 글은 블로그 참조: https://blog.naver.com/bsc_hr/223994621691 ]

 

 

 

(글: 비에스씨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