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엔지니어 출신 HR 담당 임원이 일으키는 '눈부신 착오'
- 2024-07-18
- 137
[ AI 요약 ]
많은 기업들이 현업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채용 시스템 개선에 힘쓰고 있으며, 과학적 채용 체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HR 전문성 부족이라는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엔지니어 출신 HR 임원이 유발하는 문제
엔지니어 출신 HR 임원의 경우, 일견 현업 경험이 풍부하고 전문성을 갖춘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경험과 직감만으로 과학적 채용 체계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합니다.
첫째, 엔지니어 출신 HR 임원들은 회사가 수년간 구축해 온 과학적 채용 시스템을 경험과 직감만으로 함부로 변경합니다. 기본적인 채용 개념도 이해하지 못하고, 일상의 엔지니어링 문제처럼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둘째, 이들은 비효율적인 채용 프로세스를 만들어냅니다. 면접 평가 항목을 과도하게 늘려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고, 타당성이 의심스러운 AI 툴을 도입하여 오판을 유발하며, 불필요한 행정 절차를 증가시킵니다.
셋째, 이러한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채용 방식으로 인해 우수 인재 유입을 놓치고, 채용 과정 자체에 대한 불만을 야기합니다. 기존 직원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불투명한 채용 과정으로 인해 조직 분위기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엔지니어 출신 HR 임원이 이런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HR 분야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중요한 분야이며, 단순히 업무 경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 기업은 HR 담당자들이 전문성을 갖추도록 HR 전문가 양성에 적극 투자해야 합니다.
체계적인 HR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과학적 채용 시스템과 HR 전문 지식을 쌓도록 지원하고, 경력 개발 기회를 제공하여 전문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HR 전문가들의 역량과 성과를 인정하고 보상해야 합니다.
HR은 기업의 성장 동력입니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채용 시스템을 구축하고, 우수 인재를 유치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HR 전문가의 역할이 필수적입니다. 기업 경영진은 HR의 중요성을 명심하고, HR 전문가 양성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할 것입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3477261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