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경력직 면접에서 유의할 점은 무엇일까요?
- 2023-06-02
- 527
최근 국내 기업의 연간 경력직 채용 비율은 동일 기간의 신입 채용 비율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급격히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대응하고자 적시에 가장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려는 기업들의 니즈가 확대되면서, 전통적으로 대규모 공개 채용을 진행하던 대기업에서도 점차 직무별 상시채용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실제로 기아와 현대자동차는 2019년도부터 매년 상, 하반기 실시하던 정기공채를 폐지했고, 뒤이어 LG, SK 등 주요 대기업도 정기공채 중단을 선언하거나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상시채용이 확대됨에 따라 빠르게 실무에 투입 가능한 경력직 중심의 채용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릴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습니다.

간혹 경험이 매우 풍부하고 숙련된 지원자들을 평가하게 된다면, 과거의 특정 경험을 묻는 면접만으로는 변별이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이 경우 평가 역량에 기반한 미래 행동 면접, 즉 상황면접(situational interview)을 추가적인 도구로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우리 회사에서 평가하려는 역량과 관련된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지원자가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에 대해 답변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상황면접에서의 답변은 지원자의 태도나 성격적 측면보다는 실용지능과 같은 문제해결 능력을 보여주는 쪽에 가깝다는 사실을 먼저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더불어 면접관이 각 상황면접 질문에 대하여 모범적인 응답, 일반적인 응답, 수준 이하 응답의 전형 및 예시를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어야만 타당한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면접을 설계하는 과정은 물론 면접관 교육에도 상당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행동 사건 면접을 기본으로 인성과 태도 역량을 평가하고, 반드시 검증해야 하는 직무 관련 문제해결력은 상황면접을 적절히 활용하여 관찰하는 방식이 가장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BSC는 초보 면접관을 위한 입문 과정부터, 프로 면접관으로 거듭날 수 있는 심화 과정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면접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고객사의 채용 특성과 니즈를 고려하여 강력한 면접 툴을 개발합니다.
실패 없는 경력직 면접을 위해서는 올바른 질문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강점 일색인 경력기술서 가운데 빈틈을 파고드는 면접관의 스킬을 갈고 닦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최종 검토: 박진아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