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우리 회사 직무를 반영한 면접 과제를 만들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2023-06-02
- 290
지원자가 입사하면 수행하게 될 업무의 일부를 면접 과제로 활용하는 것을 “Work Sample Test”라고 합니다.
그러나 면접에서는 실제 업무를 그대로 제시하기보다는 필요에 따라 일부 변형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종류의 면접 과제를 “Simulation Exercise” 또는 줄여서 Simulation(시뮬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이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교과서를 쓴 Thornton 등에 따르면 Simulation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개발해야 합니다.
국면 |
단계 |
정의 |
1. Simulation의 목적 결정 2.원하는 Outcome 정의 및 가용 자원 확인 |
분석 |
3. 환경, 조직, 직무 컨텍스트 분석 |
설계 |
4. 설계 특성 설정 |
개발 |
5. 평가대상자용 자극 자료 준비 6. 평가자와 진행자용 지원 자료 준비 7. 평가자 훈련 8. 파일럿 테스트 및 수정 |
실행 |
9. 목적과 원하는 Outcome에 비추어 실행 |
평가 |
10. 과정 평가 11. 최종 결과 평가 |

최근에 회사의 실제 직무를 반영한 이런 종류의 면접이 지원자의 미래 업무 성과를 예측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활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Simulation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리소스 확보는 여전히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은 인적 자원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 작업 상황 이해를 위한 현업 전문가(SME; Subject Matter Experts)
- Simulation 설계자와 개발자
- 관찰자/평가자
- 롤 플레이어
- Simulation 운영자와 관리자
이 중에 일부는 HR 담당자가 수행할 수 있고, 일부는 전문 컨설턴트가 수행할 수 있지만, 현업에서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할애해서 개발과 운영에 참여해 주지 않으면 실효성 있는 평가를 하기 어렵습니다.

Simulation이 여러모로 좋은 평가 방법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면접 전형에 적용하려면 충분한 시간과 자원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Simulation 결과와 달리 실제 성과에는 동료들과 얼마나 잘 협력하는지, 불확실성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 얼마나 빠르게 학습하는지 등 다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Simulation을 통한 미래 업무 성과 예측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최종 검토: 양진희 선임연구원)
이미지 출처: pixa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