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천동설에서 배우는 HR의 과학적 접근과 조직 내 도전
  • 2025-01-10
  • 123

밑줄 및 사진에는 URL이 포함돼 있습니다. 클릭하면 관련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AI Summary ]

과학의 역사에서 천동설이 지동설로 바뀐 것은 큰 도전이었습니다. 인류는 오랫동안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었지만,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과 갈릴레오의 망원경 관찰,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이는 겉으로 보이는 현상이 항상 진실은 아니라는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HR 관리에서도 깨야 할 통념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직원들이 오직 돈 때문에 이직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경력 성장 기회, 팀 분위기, 의미 있는 업무가 더 중요한 이직 요인입니다. 또한, 성과 평가는 모두가 싫어한다고 생각하지만,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 시스템은 오히려 직원들의 성과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경력이 많으면 무조건 유능하다는 생각도 조직 문화 적합성과 지속적인 학습 능력이 더 중요할 때가 많습니다.

HR 전문가들은 이러한 통념과 끊임없이 싸워야 합니다. HR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최고 HR 임원으로 앉게 되면, HR 부서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 오래된 관행의 비효율성, 과학적 분석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설명하고 설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이는 마치 천동설에 매달린 과학자들에게 지동설을 설명하는 것만큼이나 힘든 작업입니다.

과학이 천동설을 깼듯, HR 전문가도 데이터와 과학적 분석을 통해 혁신을 이룰 수 있습니다. 객관적인 평가 도구로 지원자의 진정한 잠재력을 발견하고, 데이터 기반 분석으로 리더의 강점을 키우며, 직원 만족도 조사와 심층 분석을 통해 조직 문화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HR 전문가도 통념에 도전하고 과학적 사고로 조직을 혁신할 수 있습니다. 이 여정은 쉽지 않지만, 열린 마음으로 새로운 관점을 탐험하고, 끊임없이 설득하며, 조직의 변화를 이끄는 HR 전문가가 되기를 응원합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 블로그 참조하세요. 

https://blog.naver.com/bsc_hr/223701452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