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면접 도구는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 2023-06-05
  • 262



 


채용 담당자가 면접 컨설팅 관련 문의를 할 때, 면접 도구가 다양하게 소개된 리스트를 사전에 받아보고 싶어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제시된 다양한 면접 도구를 살펴보고 그 중 적합한 도구를 잘 골라 주는 경우도 있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도구와 다른 신선한 도구나 흥미로워 보이는 도구를 선택하여 개발을 의뢰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 꽤 높은 확률로 실제 면접 전형을 설계하는 중에 어려움을 겪거나 면접을 진행하더라도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를 구별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관련 글] 면접 과제를 실무와 얼마나 유사하게 만드는 게 좋을까요?

그렇다면 면접 도구는 어떻게 골라야 할까요? 이 문제는 면접을 진행하는 이유에서 출발하면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기업은 지원자가 회사에 들어와서 실제로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을지 미리 검증하기 위해 면접을 진행합니다. 입사 후에 “업무를 잘 수행할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업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떻게 평가하지?” 보다 “무엇을 평가하지?”가 우선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무엇을 평가할 것인지를 구체화한 이후, 평가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어떤 역량을, 어떤 전형을 통해,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표] 평가 매트릭스 예시

평가 역량

서류 전형

필기 전형

면접 전형

의사소통능력

 

 

O

책임감

O

O

 

문제해결능력

O

O

 

팀워크

O

 

O


각 전형별로 가장 잘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선택하여 평가에서 누락되는 역량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위의 예시를 보면, 면접 전형에서 중점적으로 평가해야 하는 역량은 의사소통능력과 팀워크입니다. 이제 여러 면접 도구를 살펴보면서 의사소통능력과 팀워크를 가장 잘 평가할 수 있는 면접 도구가 무엇일지 판단하면 됩니다. ‘협상과제’를 면접 도구로 선택한다면 팀원들과의 전략 수립 과정을 통해 팀워크 역량을 확인하고, 팀원 간 협상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만약 이 때 “어떻게 평가하지?”에 초점을 맞춰서 면접하기 좋아 보이는 개인 프레젠테이션 면접을 면접 도구로 선택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개인 프레젠테이션 면접으로 의사소통능력은 평가할 수 있지만 팀워크 역량은 평가할 수 없습니다. 만약 채용하려는 직무가 팀워크가 매우 중요한 직군이라면 해당 직무에 적합하지 않은 지원자가 최종 선발될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면접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면접에 투입할 수 있는 자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면접 시간, 면접에 참여할 수 있는 면접위원 수, 장소 등의 여건을 고려하여 면접 도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에 대한 고려가 우선되어서는 안 됩니다. 평가 역량에 맞는 도구를 먼저 선별하고, 그중 여건에 맞는 도구를 최종 선택한다면 평가 역량과 자원을 모두 충족할 수 있습니다. 기존 도구를 자원에 맞게 변형하여 운영하거나, 평가 역량과 자원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다른 도구를 활용할 수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자원에 맞춰서 면접 도구를 먼저 선택한다면, 선택한 면접 도구로 평가할 수 없는 역량을 평가해야만 하는 곤란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에 채용 과정, 특히 면접 전형을 설계하실 때에는 반드시 평가하고자 하는 역량을 먼저 구체화하고, 평가 매트릭스를 계획하여 면접 전형에서 사용할 면접 도구를 선택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최종 검토: 전미강 선임연구원)
이미지 출처: Pexels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301641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