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인성검사를 커스터마이징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2023-06-05
- 729
많은 기업들이 회사가 바라는 인재상과 핵심역량이 반영된 인성검사의 실시를 원하며, 이를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인성검사 대신 회사의 니즈에 맞게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된 인성검사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인성검사 커스터마이징은 대략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아래로 갈수록 복잡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범용 검사 문항과 항목별 결과를 그대로 활용하고, 우리 회사의 인재상, 핵심 역량, 직무 역량 등에 맞춰서 이름과 순서 정도만 바꾼다.
(2)범용 검사 문항과 항목별 결과를 최대한 활용하되, 우리 회사에 필요한 새로운 항목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 검사 문항을 새롭게 조합한다.
(3)범용 검사 문항과 항목별 결과를 일부 활용하되, 우리 회사에 필요한 새로운 항목을 측정하기 위해 새로운 문항을 추가 개발한다.
(4)범용 검사를 활용하지 않고, 우리 회사에 필요한 새로운 항목을 측정하기 위해 검사 문항을 전면 새로 개발한다.
(1) 수준 정도의 커스터마이징을 진행할 경우는 전산 시스템 적용부터 결과표 변경까지 대략 한 달 이내에 완료가 되겠지만, 가장 높은 (4) 수준으로 진행하면 문항개발, 파일럿 테스트 및 분석 등을 포함해 1년 이상 걸리기도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인성검사 커스터마이징을 어떤 수준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에 앞서 먼저 우리 회사가 지원자에게서 검증하고자 하는 역량, 즉 평가 항목을 정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평가 항목이 정해져 있다면 바로 적절한 커스터마이징 수준을 정하고 작업에 착수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먼저 평가하려는 항목부터 고민해 봐야 합니다.
평가 항목을 정하는 작업에도 투입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인풋(Input) 자료들이 있는데, 많이 사용되는 인풋 자료로는 신뢰할 수 있는 대외 기관에서 분석 또는 발표된 외부 자료와 우리 회사 내에서 수집 가능한 내부 자료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예시 |
외부 자료 |
우리 회사의 주요 사업 및 직종과 유사한 직무 분석 DB 요구 역량, 특성과 관련된 성격 연구 논문 및 전문 서적 정부의 채용 관련 정책 방향 및 HR 트렌드 |
내부 자료 |
회사 내부에서 개발된 직무분석 또는 역량모델링 자료 인터뷰 및 직무 서베이: HR 및 경영진, 관리자, 우수수행자 등 최근 3~5년 간의 채용, 승진 등과 관련 내부 기준 및 데이터 사내 주요 발간문 및 교육자료, 채용 홈페이지 등 |
이런 다양한 내외부의 자료를 얼마나 많이 투입하고 심도 있게 분석하느냐에 따라 평가 항목을 정하는 작업에 대략 1개월 내지 3개월 정도가 소요됩니다. 물론 이미 회사의 인재상이나 핵심 역량에 대해 이전부터 충분히 논의된 상황이라면 이보다 더 빨리 결정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평가 항목을 정하는 작업은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고 검사의 가장 기본이 되기 때문에 충분한 숙고가 필요하며, 만약 회사에서 생각하고 있는 측정 항목이 다소 추상적이고 모호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구체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상과 같이 평가 항목이 확정되면 인성검사 전문가가 해당 평가 항목의 정의, 내용 등을 분석하고 이를 기존 범용 검사로 얼마나 커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합니다. 만약 회사가 필요로 하는 평가 항목이 매우 독특하다면 부득이 추가로 검사문항 개발을 해야 하겠지만, 그간의 오랜 경험상 역량평가 전문회사인 저희 BSC가 개발한 범용 인성검사로 어떤 회사의 인재상이나 직무 역량을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또한 모든 문항을 통째로 전면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은 웬만해서는 투입 비용 대비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어려우며, 대부분의 회사는 (1)수준 내지 (2)수준의 커스터마이징으로도 충분한 소기의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BSC의 최적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큰 부담 없이 회사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이 잘 반영된 맞춤형 인성검사 결과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최종 검토: 김민지 책임연구원)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650522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