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필기시험에서 원점수 대신 표준점수를 써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2023-06-07
- 970
우리가 잘 아는 수능시험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체의 필기시험에서 합격자를 선발하기 위해 표준점수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원점수가 아닌 표준점수를 사용하는 것일까요?
‘시험을 잘 본 응시자는 원점수와 표준점수 모두 다른 응시자보다 점수가 높게 나올 것이고, 시험을 잘 못 본 응시자는 원점수, 표준점수 모두 낮게 나올 테니 원점수를 사용해도 되지 않을까?’라고 가볍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래서는 안 되는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표준점수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고자 합니다. 표준점수는 표준편차를 활용하여 응시자의 점수가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표준점수로 흔히 사용되는 점수는 z점수, T점수, 스태나인 점수 등이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표준점수는 T점수입니다. T점수는 평균 50점, 표준편차 10점으로 표준화한 점수입니다. 만약 T점수가 70점이라면 평균점수인 50점으로부터 점수가 높은 방향으로 2 표준편차만큼 떨어져 있는 점수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기관에 따라 100점 만점 점수를 써야 하는 경우에는 평균 70점, 표준편차 10점으로 변환하는 표준점수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원점수와 표준점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바로 표준점수는 응시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원점수와 가장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응시자가 S기업 공채 필기시험에서 원점수 100점 만점의 90점을 받았고, L기업 공채 필기시험에서는 100점 만점의 70점을 받았다고 할 때, 단순히 S기업에서의 원점수가 높다고 하여 S기업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만일 S기업의 필기시험 응시자 평균이 95점이었고, L기업의 전체 응시자 평균이 40점이었다면, 오히려 S기업에서는 평균보다 낮은 점수이고, L기업에서는 평균보다 월등히 높은 점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원점수만으로 해당 응시자 점수가 다른 응시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지 낮은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표준점수를 활용하면 가능합니다. 위의 응시자의 S기업 필기시험 T점수가 40점이고, L기업 필기시험 T점수가 70점이었다면, S기업에서는 다른 S기업 지원자의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고, 반대로 L기업에서는 다른 L기업 지원자 평균보다 높은 점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