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문제를 일으킬 만한 직원을 미리 알아볼 수 있을까요? - (2) 사이코패스 성격 특성
- 2023-06-07
- 543
지난 번에 조직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행동, 즉 반생산적 조직행동(CWB,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의 종류를 살펴봤고, 그 원인에는 개인적 요인과 조직 요인이 있다고 했습니다.
CWB의 개인적 원인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은 바로 다크 트라이애드 성격(Dark Triad Personality)입니다. 중대한 범죄를 저지를 정도는 아니지만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인간의 부정적인 성격 특성으로 사이코패스, 마키아벨리즘, 나르시시즘 이 세 가지를 꼽는데요, 오늘은 그중 하나인 사이코패스 성격 특성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사이코패스라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감정과 공감능력이 결여되어 있어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을 흔히 사이코패스라고 하곤 합니다. 실제로 사이코패스 성격 특성을 가진 사람은 사회적 규범이나 주위의 요구를 무시하고 매우 충동적으로 행동하며,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이코패스를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요, Primary와 Secondary로 구분합니다.
Primary 사이코패스는 선천적으로 사회적 스트레스에 무디고 정서적으로 교류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타인에게 나쁜 행동을 하면서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고 분노를 잘 참지 못해 직접적인 공격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지배하려는 욕구가 있어 사회적 상황에서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편이며,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획적이고 집요한 면모를 보입니다.
이로 인해서 사람을 능숙하게 관리하고 성과를 내는 카리스마 있는 리더로 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징은 조직 사회에서 오히려 긍정적인 자질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만약 지적능력도 높은 경우라면 선발 과정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고 입사해 꽤 높은 성과를 낼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최고경영자의 약 3.5%가 사이코패스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그러나 Primary 사이코패스의 목표는 대개 매우 자기중심적입니다. 또한 사회적 규범에 어긋나는 행동을 스스럼없이 하는 데다가 주변 사람을 배려하지 않기 때문에 설령 단기적으로 높은 성과를 낸다고 해도 장기적으로는 조직과 주위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또한 소속감과 동료애를 거의 느끼지 못하고 사회적 지지나 배려에서 긍정적 가치를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에 조직 생활을 오래 견디지 못하는 편입니다. 한편 괴팍한 악질 상사 밑에서 상대적으로 별로 괴로움을 느끼지 않고 성과를 내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Secondary 사이코패스도 사회적 교류를 싫어하고 충동적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불안도가 높고 정서적 혼란 증상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도적으로 행동하거나 먼저 공격 성향을 드러내는 경우가 별로 없습니다. 또한 비계획적이고 인내심도 부족해서 주위에서 보기에는 사회화 수준이 낮고 미성숙한 것처럼 느껴집니다. 따라서 Primary 사이코패스와 비교했을 때 애초부터 조직생활을 오래 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사이코패스는 오래 지내면서 보면 주위 사람에게 문제가 되지만, 첫 만남에서 바로 사이코패스 성격 특성을 가진 사람을 알아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특히 다른 지원자들은 압박과 스트레스를 느끼는 선발장면에서도 사이코패스는 당당하고 자신감 있게 행동하기 때문에 오히려 매력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선발장면에서 이런 외적인 태도에 현혹되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확하고 과학적인 평가가 중요합니다.
사이코패스를 변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검사도구는 캐나다의 범죄심리학자 로버트 헤어가 개발한 사이코패스 체크리스트(PCL-R)입니다. 각 국가마다 기준은 다르지만 우리나라는 25점 이상을 사이코패스로 구분합니다. 다만, 실제로는 두 명 이상의 심리검사 전문가가 면담과 자료를 철저히 검토하고 평가한 점수의 평균으로 사이코패스를 진단하기 때문에 체크리스트의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다크 트라이애드 성격인 마키아벨리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종 검토: 여슬기 연구원)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701457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