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피드백을 잘 수용하지 못할 때 - 원인과 교육
  • 2023-12-18
  • 177

[AI 요약]

 

피드백을 잘 수용하지 못하는 심리적 어려움은 무엇이고 교육을 통해 어떻게 이를 극복할 수 있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방어적 자세와 자아방어

피드백이 부정적일 경우, 우리는 자아를 방어하려는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어적 자세를 극복하고, 피드백을 건설적으로 받아들이는 방법을 교육으로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자기개념 충돌

피드백 결과가 개인의 자기개념과 충돌할 때, 피드백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개인이 자기개념과 피드백 간의 일치를 찾는 데 도움을 주고, 자아정체성의 충돌을 해소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는 피드백 수용 교육이 필요합니다.

 

3. 긍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수용 어려움

성취감 부재 등으로 인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수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피드백 수용 교육은 긍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기를 수 있는 기술과 자세를 강화합니다.

 

4. 자기효능감 부족

피드백 결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낮을 경우, 개인은 피드백을 수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피드백 수용 교육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개인의 성과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다룹니다.

 

5. 변화에 대한 불안감

피드백은 개선과 변화를 요구할 수 있어, 변화에 대한 불안감이 피드백 수용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피드백 수용 교육은 변화와 적응에 대한 실질적인 전략과 도구를 제공하여 불안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렇게 다면평가 결과를 잘 수용하지 못하는 이유와 교육을 통해 어떻게 다뤄줄 수 있는지 간략하게 살펴 보았습니다.

 

피드백 수용 교육은 개인의 성과 향상뿐만 아니라 조직의 효율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은 집단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전문가의 디브리핑 세션을 통해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3288621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