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역할 분석 모형을 활용한 팀빌딩에서 주의 사항
  • 2024-02-14
  • 157

[ AI Summary ]

 

역할 분석 모형(Role Analysis Model)을 활용해서 팀빌딩을 시도하기도 하는데요, Meredith Belbin의 역할 분석 모형은 팀 내 구성원들의 역할에 다음과 같은 9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1. 조직가 (Coordinator)

2. 모니터-평가자 (Monitor Evaluator) 

3. 창조가 (Shaper) 

4. 플랜트 (Plant) 

5. 리소스 탐색가 (Resource Investigator) 

6. 실행자 (Implementer) 

7. 완수가 (Completer Finisher) 

8. 팀워커 (Team Worker) 

9. 전문가 (Specialist) 

 

 


 

 

이런 모델을 활용해서 팀 내 구성원들의 다양한 역할 및 특성을 이해하고, 팀 내 역할 분담과 협력을 위한 최적의 조합을 찾으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를 수 있습니다.

 

1. 팀 구성원의 역할 식별

2. 팀의 다양성 고려 

3. 팀원 간의 상호작용 이해 

4. 역할 조정 및 조정 

5. 팀원 간의 의사소통 강화 

6. 피드백과 평가 프로세스 도입 

 

다만 역할 분석 모형을 팀빌딩에 활용할 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1. 라벨링 회피: 각 팀원에게 다양한 역할 중 하나를 라벨링하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2. 다양성 고려: 팀을 구성할 때에는 팀원 간의 다양성을 고려해서 균형잡힌 조합을 찾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3. 역할의 유연한 변화: 팀이 발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역할을 재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커뮤니케이션 강화: 팀원들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역할 간의 충돌이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피드백 과정을 수립하세요. 

5. 개인적 성과와 팀 목표의 균형: 너무 개인 중심이나 반대로 지나친 팀 중심의 접근은 효과적인 팀워크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6. 진정성 유지: 팀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조정하거나 역할을 조정할 때, 진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피드백과 학습 문화 구축: 팀원들 간에 솔직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장려하고, 팀 전체의 학습과 성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합니다. 

 

역할 분석 모형은 팀빌딩에 활용할 수 있는 아주 강력한 도구이지만, 다른 형태의 팀빌딩과 마찬가지로 서로를 존중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학습해 가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전체 글은 티스토리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schr.tistory.com/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