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역량평가 원리로 국회의원 후보를 평가한다면?
- 2024-04-16
- 226
[ AI 요약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지난 4월 10일에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여야 간의 승패가 크게 갈렸지만, 중요한 것은 유권자들이 후보자를 평가하고 투표한 기준입니다.
일반적으로 유권자들은 후보자의 소속 정당, 선거 공약, 공약 이행률 등을 고려하여 투표합니다. 이 과정에서 선거 홍보물, 뉴스 기사, 유세 현장 등을 통해 후보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보자의 적합성을 판단합니다.
기업의 면접 과정에서도 이와 유사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면접에서는 STAR framework를 활용하여 지원자의 과거 행동 경험을 심층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통해 미래의 행동을 예측합니다.
STAR는 상황(Situation), 과제(Task), 행동(Action), 결과(Result)의 약자로, 이 네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질문을 구성합니다. 이를 통해 지원자의 역량을 평가하며, 지원자의 개인적 참여도와 행동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확인합니다.
국회의원 후보자를 평가하는 데에도 STAR 기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후보자가 과거에 직면했던 상황과 해결해야 했던 과제를 파악하고, 그 상황과 과제 속에서 후보자가 취한 행동과 그 결과를 평가합니다.
이 과정에서 후보자의 정책 제안, 토론 활동 등 모든 행동이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후보자의 행동으로 인한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국가나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후보자 평가는 단순히 공약의 내용뿐만 아니라, 후보자가 과거에 어떤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취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 어떤 성과를 이루었는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과정입니다.
다음 선거에서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후보자의 경험과 능력을 적절히 평가하고, 국회의원으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해 보면 어떨까요.
(글: 송혜현 연구원)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3413907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