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다면평가 1:1 코칭은 어떻게 진행하나요?
  • 2023-06-02
  • 304


 

 

다면평가를 실시하고 난 후 개인별 결과표를 평가 대상자에게 전달하고 평가 결과를 스스로 소화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지만, 활용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코칭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기업에서 다면평가 후 코칭의 유용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1:1 코칭이 집단 코칭보다 비용이 많이 들기는 하지만, 더 효과적이고 개인 비밀을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임원진 코칭에는 1:1 코칭이 크게 선호되고 있습니다.


1:1 코칭은 크게 두 파트로 구성해서 운영합니다. 첫번째 파트는 다면평가 결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수용을 목표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면평가 개인별 결과표를 기준으로 해서 차례대로 내용을 숙지하고 질의응답과 보충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 다음 코칭 대상자의 관점에서 다면평가 결과를 해석해 봅니다. 즉, 결과표를 보면서 느낀 점과 생각한 점을 들어보고, 자신이 정말 생각하는 강점이나 개선 필요 사항에 대해서도 들어봅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구체적인 실제 직무 상황에서의 행동 사례를 떠올리고 그 영향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두번째 파트는 변화 계획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먼저 변화 목표를 정합니다. 변화 목표 설정은 코칭 대상자가 어떤 점에서, 또 어느 정도나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확인하는 데서 출발합니다. 이 과정에서 코치는 자신의 코칭 경험과 관련 업계의 벤치마크 등을 통해 객관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목표 설정을 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변화를 위해 필요한 행동 목록을 종이에 적어보도록 합니다. 그리고 그 행동 목록에 관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action plan)도 수립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문 코치는 계속해서 코칭 대상자의 관점에서 출발하되, 코칭대상자의 변화하려는 조그마한 의지나 노력도 인정하고 지지함으로써 변화 노력을 강화하게 됩니다. 





1:1 코칭은 대개 1시간 또는 2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다면평가의 목표나 상황에 따라서는 일부 요소를 생략하거나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1시간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주로 결과의 이해와 수용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변화 계획과 실행 계획을 세우는 것까지 포함하고자 한다면 2시간 정도의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1:1 코칭이 끝난 후에는 간단한 코칭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왕 다면평가를 시행한다면 그 귀중한 정보가 사장되지 않고 조직과 구성원의 변화와 성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검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최종 검토: 최희경 파트너)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904286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