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전공 필기시험은 어떻게 구성하는 게 좋을까요?
- 2023-06-07
- 427
채용 적성검사 시 특정 직무에 더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고자 전공 필기시험을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전공 필기시험의 문항은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요?
지난 포스트 “채용 적성 검사에서 좋은 문항이란 어떤 것일까요?”에서도 다뤘듯이 전공 필기시험 또한 직무와 유관성이 높고, 난이도가 적정한 문항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문항은 어떤 문항을 의미하는지, 이를 위해서는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전공 필기시험이 직무 유관성이 높다는 건 말 그대로 실제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령, 전기설비 직무에서 전기공학 필기시험을 보는 것은 직무 유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지만, 코딩 테스트를 하는 것은 직무 유관성이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는 단적인 예시이나, 종종 직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언뜻 보기에는 관련이 있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직무와 관련이 적은 과목으로 채용 시험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의 수준, 범위를 구체화한 직무기술서를 작성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과목과 출제 범위 등을 선정해야 합니다. 또한 출제자가 시험 의도나 출제 범위를 이해할 수 있도록 과업지시서에 과업의 목적, 출제 범위 등을 명확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또한 전공 필기시험은 응시자 pool을 고려한 적정한 난이도의 변별력이 높은 문항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매년 언론에서는 그해 치러진 수능에 대해 “물수능”, “불수능”이라는 말을 하는 것을 보면 채용 시험을 비롯한 많은 시험에서 난이도 조정은 큰 과제입니다. 난이도 조정이 어려운 이유는 그 과목에 유능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가릴 수 있을 만큼 변별력은 높아야 하지만, 최소 선발 배수는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난이도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적성 검사와 마찬가지로 전공 필기시험도 상중하 난이도의 문항으로 구성해 출제하게 됩니다. 이때 적정한 상중하 난이도의 비율은 기관마다 다릅니다. 기관의 지역이나 성격에 따라 응시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적정한 난이도 구성을 위해서는 직전 채용에 사용된 동일 과목의 정답률 정보를 참고해 올해 응시자의 수준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적정한 상중하 난이도 비중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타당한 전공 필기시험을 출제하려면 직무 유관성이 높으며 응시자 pool을 고려한 적정한 난이도의 문항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위 조건 이외에도 전공 필기시험은 전문가의 철저한 검토를 거쳐 오류가 없어야 하며, 전공 지식은 교육이 가능한 한계 역량이기 때문에 입사 전 꼭 알아야 하는 전공 지식은 측정하되 합불(Pass/Fail) 방식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타당한 전공 필기시험을 출제하기 위해 위 조건들을 고려할 때, 지원자는 채용 과정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과 기업에서도 직무에 보다 더 적합한 인재를 선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종 검토: 마승희 연구원)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88039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