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검사에서 100점 만점 원점수를 쓰지 않고 T점수를 쓰는 이유가 뭔가요?
  • 2023-06-07
  • 2989


 

 

BSC의 리더십진단검사나 각종 인적성검사 결과표에는 T점수가 사용됩니다. 간혹 T점수 대신 100점 만점 점수로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는지를 문의하는 분이 있습니다. 

 

 

먼저 참고로 말씀드리면 T점수는 BSC만의 독특한 점수가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심리검사 전문기관 및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점수입니다.

 

 

 

 

그렇다면 심리검사 전문가들은 왜 원점수가 아닌 T점수를 사용할까요? 간단히 얘기해서 T점수는 일종의 ‘표준점수’이기 때문입니다. 

 

 

‘표준점수’란 “각 개인의 점수가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표준편차(일반적으로 각 개인의 점수들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요약해 주는 지수)를 단위로 나타내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점수 척도 체제”입니다. 구체적으로 T점수는 전체 집단의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만든 표준점수입니다.

 

[관련 글] 전공 필기시험은 어떻게 구성하는 게 좋을까요?

위 설명에서 우선 왜 표준점수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각급 학교에서 치렀던 각종 시험은 대부분 100점을 만점으로 하는 원점수로 처리되었습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이 기말 시험에서 수학은 70점, 국어는 90점이 나왔다고 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단순히 원점수만을 비교해서 이 학생이 수학보다 국어를 잘 하는 학생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한 단계 들어가서 이 기말 시험의 점수 분포를 살펴보니, 수학 시험이 아주 어려워서 수학 70점은 전교 2등에 해당하는 점수이고, 반대로 국어 시험은 너무 쉬워서 국어 90점은 반에서 5등, 전교 55등의 점수라면 어떨까요?

 

 

 

이렇듯 100점 만점 원점수만을 사용하게 되면 사실상 그 점수가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에 있는 것인지 알 수 없고, 주관적으로 잘못 해석하게 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에 비해 T점수는 표준점수로서 정규분포를 가정합니다. 즉 T점수에서 50점이 나왔다면 비교 집단 대비 평균 정도의 점수가 나왔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통계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은 T점수 60점은 대략 상위 16%에 해당하고, 70점은 상위 2.5% 정도에 해당한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BSC의 각종 검사에서는 이렇게 상위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백분위점수도 검사 결과표에 함께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때로 고객사의 내부 규정이나 특수한 사정 때문에 인적성검사 점수 등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서 활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조직 내부의 관행과 정서에 맞을지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단순하게 T점수에 20점을 더하면 일종의 100점 만점 점수 비슷한 걸 얻을 수 있는데요. 이렇게 할 경우에 전체 평균은 70점 정도가 됩니다. 그리고 이 점수 분포에서 60점은 하위 16% 정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특정한 시험에서 약 16% 정도 과락 처리를 원한다면 이 분포를 사용하되 60점을 과락으로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만약 T점수에 20점을 더한 이 분포에서 40점을 과락으로 적용한다면 평균에서 3표준편차 이상 낮은 극소수만이 과락에 해당하게 될 것입니다.

 

 


 

 

정리하겠습니다. T점수는 일종의 표준점수로서 응시자의 상대적 위치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점수 체제입니다. T점수를 100점 만점 점수로 환산하려면 조직의 니즈, 최근 데이터 등을 세심하게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100점 만점 환산 작업은 전문가와 고객사 실무자 간의 긴밀한 소통과 협업이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최종 검토: 천명재 파트너)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91109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