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적성검사가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요?
- 2023-06-07
- 297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이나 직무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긴 한데, 쉽지는 않습니다. 때로는 적성검사를 통해 도움을 얻으려는 경우가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채용하고자 하는 직무에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는 사람을 찾기 위해 적성검사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방법에는 큰 한계가 있어서 오늘은 그 점을 다뤄 보려고 합니다.
우선 적성검사의 성격을 잘 이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적성’이라는 말은 나의 인지능력, 성향, 가치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이 일이 내 적성에 안 맞아’라고 할 때는 내가 원하는 바와 그 일이 내게 제공하는 바 사이에 큰 불일치가 있음을 나타낼 때가 많습니다.
그런데 심리검사로서의 적성검사에서 측정하는 ‘적성’은 보다 좁은 범위의 특성을 의미합니다. 즉 적성검사는 대체로 ‘어떤 일을 수행할 수 있는 지적 잠재력’을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거의 최초의 적성검사로 알려진 미군의 적성검사에서는 점수가 가장 높으면 포병, 그 다음 수준이면 보병, 일정 수준보다 낮은 점수가 나오면 군 입대 불허, 이런 식으로 결과를 활용했습니다.
또한 미국 고용청이 개발하고 한때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사용한 GATB(General Aptitude Test Battery)라는 적성검사에서도 응시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따라 종사할 수 있는 직업군을 위계적으로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인지능력 검사를 적성검사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산업조직심리학이 100년 넘게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직업 수행에서 성공을 예측하는 단일 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 인지능력이기 때문입니다. 즉 기본적으로 인지능력을 갖추고 다른 성격 요인이 뒷받침되어야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성검사를 선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는 것은 이론적 근거가 있는 좋은 접근이라 하겠습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심리검사로서의 적성검사는 어떤 직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 충분한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그런데 통념적 의미의 적성은 인지능력 외에도 자신의 가치관, 성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기에 적성검사만으로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적성검사의 용도와 한계에 대해 명확하게 인지하고 활용해야겠습니다.
(최종 검토: 마승희 연구원)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917423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