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성격 특성과 업무 성과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 2023-06-07
  • 521



 


업무성과를 예측하는 단일 요인으로 가장 설명력이 큰 것은 인지능력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성격 특성에 관한 연구를 보면 성격도 업무성과와 상당히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성격 특성은 개인이 가진 지속적이고 상대적으로 일관된 행동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관련 글] 채용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성격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가장 잘 알려진 성격 특성 이론 중 하나는 다섯 가지 성격 특성(5요인) 이론입니다. 다섯 가지 성격 특성(5요인) 이론은 개인의 성격 특성을 개방성(Open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 외향성(Extraversion), 친화성(Agreeableness), 신경성(Neuroticism)의 요인으로 구분합니다. 한편 HEXACO 이론에서는 이 다섯 가지 요인에 정직겸손성(Honesty-Humility) 요인을 추가해 여섯 가지 중요한 요인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각 요인이 업무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성실성은 개인의 계획성, 체계성, 규율성, 집중력, 책임감, 꼼꼼함 등의 특성을 나타내며, 이는 성격 특성 중에 업무 수행에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실성이 높은 사람들은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열의가 높고, 일 처리에 있어서 꼼꼼하고 체계적으로 계획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업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실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업무 성과가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신경성은 안정성, 감정조절능력, 스트레스 대처능력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또한 업무 성과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신경성이 높은 사람들은 대개 감정적으로 불안정하며, 스트레스에 민감하고 긴장하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업무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저하시키거나, 타인과의 갈등 등을 유발하여 업무 성과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신경성이 높은 사람들이 세심하고 꼼꼼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특정 분야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외향성은 개인의 사교성, 대화 능력, 활발함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역시 업무 수행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외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대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즐기고, 활발하며,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업무에서 협력, 의사소통, 리더십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업무 성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한편 어떤 직무에서는 외향성이 다소 낮은 사람들이 더 성과가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개방성은 창의성, 호기심, 상상력 등을 나타내는 성격 특성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서면서 더 주목을 받고 있는 듯합니다.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방법을 찾고 시도하는 데 있어서 창의성과 융통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업무 수행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친화성은 타인과의 협력, 인화, 공감능력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업무 수행에서 상당한 역할을 합니다. 친화성이 높은 사람들은 대개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협력적이고 상호작용에 적극적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자세와 관련이 높아 업무에서 팀워크, 리더십, 고객 서비스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마지막으로 정직과 겸손도 업무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첫째, 정직함은 조직 내부에서 신뢰와 존경을 얻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조직 내에서 직원들이 서로 믿고 존중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상호 간의 의사소통과 협력이 원활해지고, 그 결과 업무 성과가 향상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둘째, 겸손함은 팀 내 협력과 조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겸손한 사람은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다른 사람들의 기여를 존중합니다. 이러한 태도는 팀원들 간의 신뢰와 협력을 강화하고, 업무 성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직과 겸손성이 높은 직원들은 조직 내 분위기를 개선하고, 상호 간 협력과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므로, 업무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다른 사람과 구별되면서도 지속적인 특성으로서의 성격 특성은 업무 성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다만 각 직무의 요구와 특성에 따라 어떤 성격 특성이 때로는 장점이 될 수도 있고 약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을 선발하거나 배치할 때, 또는 자신이 직업을 선택할 때 대상자의 성격 특성과 직무에서 필요로 하는 성격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종 검토: 김민지 책임연구원)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308553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