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공공기관 위탁채용 관리 가이드라인 해설 (1) 서류전형
  • 2023-06-07
  • 664

※ 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 공공기관이 채용을 위탁할 때 공정하게 채용을 진행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위탁채용 관리 지침’(2020.12.)을 공개했습니다. 동 지침에서 언급된 위탁채용 시 주요 준수사항은 1)전문성 있는 업체 선정, 2)위탁업체의 책임 강화, 3)위탁업체의 역량을 공공기관 간 공유, 4)위탁비용 사전 명시 등입니다.



※ 이번 글에서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제시한 <공공기관 위탁채용 관리 가이드라인>과 관련하여 서류전형의 중요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관련 글] 지원자가 우리 회사에 오래 다닐지 알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최근 블라인드 채용제도에 대한 감사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에 따라 공공기관 채용 서류전형에서는 감사에서 논란을 피하기 위해 응시자의 역량이나 자질을 계량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해당 공공기관에 응시하는 데 문제가 없는지 여부만을 판단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권장정책에 따라, 서류전형을 전혀 하지 않고 채용 과정을 진행한 후 예비합격자를 대상으로 채용조건 입증서류를 사후적으로 검증하는 기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원자가 많이 몰리는 기관이나 직무에서는 채용 과정의 단계에서 서류전형을 생략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서류전형에서도 블라인드의 취지에 따라 공정성 확보가 중요합니다. 공정성 확보를 위해 서류심사의 운영에 고려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공정한 서류전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명확한 기준 수립이 필요합니다. 채용 계획 수립 시 평가 항목과 채점 기준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설정해 두어야 합니다. 이는 채용 평가의 ‘신뢰도’ 문제와 관련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서류전형에서 중요한 점은 서류심사의 ‘전문성’과 ‘실효성’ 확보입니다. 서류전형의 전문성과 실효성 확보하기 위해서는 응시자의 자격요건만을 검토하기보다는 기관의 특성이나 인재상 등이 고려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평가해야 합니다. 특히 서류전형에서 평가자의 편견이 개입되지 않도록 서류전형 절차를 체계적으로 설계하여 마련된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채용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채용 담당자는 보안 관리에도 유념해야 합니다. 서류전형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 여부와 보안관리 체계를 확인하고, 서류전형 평가 진행 시 채용 담당자는 평가가 진행되는 현장을 점검해야 합니다. BSC는 서류전형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 채용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서 훨씬 용이하게 보안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서류전형이 정확해야 함은 두말할 것도 없습니다. 특히 지원자의 응시요건(경력, 학위 등), 우대요건(자격증 등)의 증빙을 위해 제출한 서류의 진위 여부를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다만, 채용에서는 지원자가 선발 인원 대비 매우 많기 때문에 서류전형 단계에서는 제출 여부만 확인하고, 진위 여부는 예비합격자를 대상으로만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요약하자면, 서류전형에서는 신뢰도 높은 평가를 위한 구체적 기준 수립, 타당도 높은 평가를 위한 전문적이고도 실효성 있는 평가 진행, 철저한 보안 관리, 정확한 진위 확인이 핵심이라 하겠습니다. 이 가운데 특히 신뢰도 높은 평가를 위한 구체적 기준 수립과 전문적이고도 실효성 있는 평가 진행을 위해서는 채용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매우 유용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필기전형 시 중요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종 검토: 김은지 컨설턴트)

이미지 출처: pixabay

 

 

 

전체 글은 비에스씨 공식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sc_hr/222653764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