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평판조회에서는 어떤 항목을 평가하나요?
- 2023-06-01
- 500

평판조회에서 평가하는 항목은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눠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객관적 조회가 가능한 영역: 학력, 경력, 신용도, 성범죄 이력 등
(2) 주관적 평가에 의존해야 하는 영역: 업무역량, 대인관계역량, 리더십 등
이 중에서 외부 평판조회 전문기관에 의뢰하는 것은 주로 후자 쪽입니다.
다만, 평판조회에서는 지원자에 대한 부정적 정보가 잘 나오지 않는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감안하여 평가 항목을 미리 정해 놓고 해당 관련 정보가 충분히 확인된 항목은 제외하고 나머지 평가 항목을 인성검사나 면접 장면에서 잘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래 예시로 만든 표를 살펴 보겠습니다.
(평가 매트릭스 제시)
평가 항목 | 평판조회 결과 | 인성검사 결과 | 면접 결과 | 비고 |
성취지향성 | 상 | 상 | (추가검증 불필요) |
|
대인이해 | N.A. | 하 | 중 |
|
분석적 사고 | 중 | 하 | (추가검증 불필요) |
|
전략적 사고 | 중 | N.A. | 중 |
|
Compliance | N.A. | 하 | 하 | Critical Issue |
위 예시에서는 평판조회를 통해 성취지향성, 분석적 사고, 전략적 사고에 대한 정보는 얻을 수 있었으나 대인이해와 Compliance(규범준수) 항목은 확인할 수 없었던 사례를 가정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인성검사를 통해 다른 네 가지 평가 항목들은 확인이 되었으나 전략적 사고는 측정하기 어려워 관련 정보가 없는 사례입니다.
이러한 경우 지원자의 성취지향성과 분석적 사고는 이미 평판조회와 인성검사 두 가지 방법에서 어느 정도 정보가 확인되었으므로 면접에서는 이에 대한 추가검증을 하지 않고, 그 대신 앞의 두 가지 방법에서 충분히 확인되지 않은 대인이해, 전략적 사고, Compliance를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선발 매트릭스를 유연하게 구성하면 채용 과정에서 평가해야 할 다양한 평가 항목들을 빠짐없이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각 평가방법마다 잘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이 있긴 합니다. 그런 점까지 감안해서 선발 매트릭스를 잘 구성하면 더 바람직하겠습니다.
(최종 검토: 이동욱 선임컨설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