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문제를 일으킬 만한 직원을 미리 알아볼 수 있을까요? - (4) 나르시시즘 성격 특성
- 2023-06-07
- 614
첫 번째 글에서 조직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행동, 즉 반생산적 조직행동(CWB,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의 종류를 살펴봤고, 그 원인에는 개인적 요인과 조직 요인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 다음 글에서는 개인적 요인인 다크 트라이애드 성격 중에서 사이코패스와 마키아벨리즘 성격 특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관련 글] 문제를 일으킬 만한 직원을 미리 알아볼 수 있을까요? - (1) 문제행동의 종류
[관련 글] 문제를 일으킬 만한 직원을 미리 알아볼 수 있을까요? - (2) 사이코패스 성격 특성
다크 트라이애드 성격(Dark Triad Personality)이란, 중대한 범죄를 저지를 정도는 아니지만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인간의 부정적인 성격 특성 세 가지인 사이코패스, 마키아벨리즘, 나르시시즘을 의미하며, CWB의 원인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세 가지 중 마지막으로 나르시시즘 성격 특성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나르시시즘도 한 번쯤 들어 보셨을 텐데요. 나르시시즘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미소년 나르키소스에서 유래된 단어로, 자기애가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가벼운 나르시시즘은 큰 문제로 여겨지지는 않습니다. 자기 자신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스스로를 위로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죠. 그러나 나르시시즘 경향이 지나치게 강해지면 주위에 피해를 끼치게 됩니다.
나르시시즘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스스로 과대평가하고 주위의 인정과 지지를 받고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싶어합니다. 대인관계에서도 주도권을 갖고 지배의식, 특권의식을 가지려는 욕구가 강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주위 사람들을 착취하고 이용하려 합니다.
업무 장면에서 나르시시즘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 실제로 해 놓은 업적보다 더 많은 인정과 보상을 바랍니다. 또한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강해서 양보나 희생에 인색하고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위해서 움직여 주기를 바랍니다. 항상 자신이 관심의 중심에 있기를 바라기 때문에 관심의 대상이 되는 다른 사람을 따돌리는 등 조직 분위기를 본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장하려 합니다.
이들도 마키아벨리즘 성격과 유사하게 사내정치에 매우 적극적인 편인데, 마키아벨리즘 성격은 권력, 성공에 더 관심이 있고 나르시시즘 성격은 대인관계에서의 애정과 지지에 조금 더 관심이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한편 나르시시즘 성격을 가진 사람이 실제로 업무 역량이 뛰어나고 사회적으로 성공해서 권위를 가지는 경우에는 자신의 위치에 만족하고 뛰어난 성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바람직한 사회생활을 위해서는 부정적인 피드백도 수용하고 성장하려는 자세가 필요한데, 나르시시스트는 부정적인 피드백을 전혀 수용하지 않으려 하고 남 탓을 하거나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이 낮고 조직 내 분위기를 흐려 장기적으로는 집단에 손해를 끼치게 됩니다.
앞서 살펴본 세 가지 다크 트라이애드 성격을 종합해보면 이들은 주로 사회적 규범이나 원칙보다 자신의 이익과 욕구를 우선시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주위 사람들을 이용하거나 착취하면서 죄책감을 전혀 느끼지 못합니다.
그러나, 겉으로는 이들의 부정적인 성격 특성이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만약 선천적으로 지능이 높고 업무 역량이 뛰어나다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신을 포장하고 사람들의 환심을 사는 데 능통하고, 물불 가리지 않고 업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하기 때문에 오히려 능력 있는 사람으로 비춰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이 높은 위치에 올라가면 어떻게 될까요?
자기 권력을 이용해 부하직원들을 괴롭히거나 사리사욕을 채우려 할 겁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결국 한 사람의 문제 행동이 다른 구성원들의 문제 행동을 유발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더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개인의 성격 특성은 교육이나 경험을 통해 단기간에 변화시키기 매우 어렵습니다. 업무 능력은 훈련과 교육을 통해 증진할 수 있지만 가치관과 성향, 행동의 동기, 도덕 관념 등은 한번 형성되고 나면 변화하기 어려운 개인의 고유한 성격 특성이 됩니다. 따라서 선발 장면에서는 지원자들의 성격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신경써야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구성원들의 문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요인을 소개하려고 하는데요, 그 중에서 불공정한 조직 분위기가 어떻게 조직원들의 문제 행동을 유발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최종 검토: 여슬기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