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상황적 리더십으로 팀 리더를 성장시키고 피플매니지먼트를 개선한 사례
- 2025-10-31
- 61
1. 팀 혼선의 원인, 리더의 스타일 고집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에서 가장 흔한 리스크는 ‘리더십 공백’입니다.
성과가 뛰어났던 팀원이 팀장이 되면, 그 방식 그대로 리더십을 행사하려 하죠.
하지만 팀원들은 “왜 이렇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점점 수동적으로 변합니다.
피드백은 줄고, 불만은 쌓이고, 결국 팀의 리듬이 흐트러집니다.
2. 상황적 리더십 이론이 알려주는 해법
Hersey & 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Situational Leadership Theory)은 이 문제를 정면으로 다룹니다.
핵심은 “모든 팀원에게 같은 방식으로 리드하지 말라”는 것.
팀원의 성숙도(Maturity), 즉 능력과 의지 수준에 따라 리더십 스타일을 달리해야 한다는 원리입니다.
- 지시형(Directing): 낮은 능력·의지 → 구체적 지시 중심
- 코칭형(Coaching): 낮은 능력·높은 의지 → 지시 + 피드백
- 지원형(Supporting): 높은 능력·낮은 의지 → 동기 부여 중심
- 위임형(Delegating): 높은 능력·의지 → 자율성 부여
3. 리더십 변화가 만든 실질적 성과
HR 담당자는 이 원리를 바탕으로 팀장 육성 프로그램을 설계했습니다.
팀원들의 능력·의지를 진단하고, 상황에 맞는 리더십 스타일을 제안했죠.
그 결과 3개월 후,
- 프로젝트 일정 준수율 20% 향상
- 팀 내 불만 감소, 소통 개선
- 팀장 만족도 조사 응답: 95%가 실무에 도움된다고 함
리더들이 팀원 특성을 이해하고 스타일을 바꾸자, 팀의 공기가 달라졌습니다.
4. 정리
리더십은 ‘내 스타일’의 문제가 아니라, ‘상대방의 준비도’를 보는 기술입니다.
팀원의 성숙도를 읽을 줄 아는 리더가 결국 성과와 문화를 함께 만듭니다.
상황적 리더십은 HRD와 피플매니지먼트의 실질적 도구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 전체 글은 블로그 참조: https://blog.naver.com/bsc_hr/224059662423 ]
(글: 비에스씨 연구소)


.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