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연구를 통해 다면평가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역량과 문항을 종합 분석한
목적에 맞는 합리적인 역량 선택과
풍부한 경험에 기반해 인사이트 있는
비교형 의도적인 평가(관대화, 엄격화) 방지에 최적화
선택형 상대적 중요도와 강약점 파악으로 풍부한 시사점 제공
평가대상자 뿐 아니라
인사부서에서 의도적인 평가를
글로벌 기업에서는 왜곡된 평가를 하는 평가자에게 다면평가에서는 주로 어떤 역량을 평가하나요?
다면평가에서 평가하는 역량은 회사에서 정하기 나름인데요,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다면평가 도구 30종을 리뷰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역량명은 협업, 팀워크, 공감, 정서지능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로 원활한 의사소통과 관련된 역량이 주목을 받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더보기
다면평가에서 평가자 집단은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직무나 직급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한 명의 평가 대상에 대해서 상사/동료/부하/고객사/타부서 협업자 등 다양한 집단의 평가자 4~8명을 배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결과의 신뢰도를 위해 1) 평가 대상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2) 솔직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해줄 수 있는 사람이면 좋습니다. +더보기
리더십진단검사와 다면평가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두 검사 모두 구성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지만 평가 방식,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리더십진단검사는 Self-report 방식이고 다면평가는 주변 사람들의 관찰에 의한 평가입니다. 따라서 리더십진단검사는 관찰로는 평가하기 어려운 개인의 심층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고, 다면평가는 관찰 가능한 행동을 토대로 역량을 측정합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