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의 인재상, 직무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글로벌과 국내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경험면접, Simulation, PT, 
국내에 잘 소개되지 않은 연구와 실천을 폭넓게 참고합니다.
서구와 다른 한국만의 상황을 감안해
고객사의 필요와 자원에 따라 
면접관 교육에서 스킬만 교육해서는 효과가 없는 이유는?
대부분의 기업에서 면접관 교육은 최대한 '콤펙트'하게 스킬과 사례 중심으로 해달라고 요청하시는데요, 이런 교육은 성인 학습자의 특성으로 인해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 학습자는 왜 그렇게 행동해야 하는지 충분히 납득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학습이 일어나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즉, '이번 면접에서 이런 방식으로 면접을 진행해주십시오'하고 스킬과 사례 중심으로 교육을 하면 '재밌네, 근데 내가 왜 꼭 저렇게 해야하는데?'라는 의문을 품으면서 자신이 하던 대로 면접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더보기
면접에서 본 인상과 인성검사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에 어떤 걸 믿어야 하나요?
우선 면접은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이고, 인성검사는 문항이라는 자극에 대한 사람의 반응을 자료로 수집한 것이라는 점에서 둘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면접에서는 의사소통 기술, 친화력, 분석적 사고 등을 잘 볼 수 있는 반면, 인성검사에서는 정직,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반사회성 등의 특성을 잘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접에서는 면접이 잘 볼 수 있는 항목에 집중하고 심층적 특성은 인성검사 자료를 적극 활용해서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보기
경력직 면접에서 유의할 점은 무엇일까요?
경력직 채용에서는 면접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편인데요, 누구나 이름만 대면 알법한 대학이나 회사 출신이고, 이력서상의 경력이 화려하다고 해서 반드시 높은 성과를 낼 거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경력직 지원자의 경험의 가치를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관련 프로젝트 경험 유무만 확인할 것이 아니라 지원자의 실제 행동이 잘 드러나도록 답변을 유도하면서 그 경험의 질과 수행 과정이 어떠했는지 디테일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