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특성 이해를 위한 특화된 자기보고 기술을 활용해 보세요.
관계, 성격과 가치관, 육성, 실력, 성과 문제 등
개인과 조직이 잠재적 위협 요인을 사전에 인식함으로써
경력직채용에서 리더십진단검사를 활용한다고요?
경력직 채용에서 이전 경력과 짧은 면접만으로 채용을 하면 이후 실제 업무장면에서 실망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경력직은 신입과는 달리 주도성, 자율성,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비에스씨의 리더십진단검사는 리더십을 자기관리, 관계관리, 성과관리로 나눠 다각도에서 진단하기 때문에 경력직이 갖춰야할 역량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리더십진단검사와 다면평가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두 검사 모두 구성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지만 평가 방식,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리더십진단검사는 Self-report 방식이고 다면평가는 주변 사람들의 관찰에 의한 평가입니다. 따라서 리더십진단검사는 관찰로는 평가하기 어려운 개인의 심층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고, 다면평가는 관찰 가능한 행동을 토대로 역량을 측정합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