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UM
블로그
목표설정 이론으로 OKR과 피드백 면담을 혁신한 사례
- 2025-11-07
- 54
“열심히 하고 있는데 왜 성과가 안 나지…?”
많은 팀에서 반복되는 고민입니다. 바꾸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막상 ‘어떻게’ 바꿔야 할지 막막하죠.
최근 한 핀테크 기업 ‘페이브릿지’의 사례는 우리에게 중요한 힌트를 줍니다.
이 팀의 문제는 역량 부족이 아니라 ‘목표의 모호함’이었습니다.
모두가 열심히 일했지만, 목표가 “최선을 다하자” 수준이었고 KPI도 형식적으로만 존재했습니다. 피드백 면담 역시 결과 확인에 그치다 보니 팀원들 스스로 방향을 잡기 어려웠습니다.
이때 도입된 것이 Locke & Latham의 ‘목표설정 이론(Goal Setting Theory)’입니다.
● 핵심 메시지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목표는 몰입과 성과를 동시에 높임
● 이론 적용 후,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팀장은 목표설정 이론에 맞춰 OKR과 피드백 면담을 재설계했습니다.
- 구체적 OKR 수립 (측정 가능한 Key Results 설정)
- 기존 대비 20~30% 도전적 수준으로 목표 상향
- 주간 스탠드업 & 1:1 코칭 면담으로 진행 상황 점검
- 필요 시 목표 재조정하며 도전 수준 유지
● 변화 결과 (3개월)
- 신제품 출시 목표 달성률 95%
- 고객 피드백 반영 속도 및 품질 향상
- “목표가 명확하고, 지원받고 있다” 응답률 90%+
- 팀 몰입도와 자기주도성 강화
명확한 목표 + 도전적 수준 + 구조화된 피드백
이 세 가지가 결합되자, 팀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 시사점
- 모호한 목표는 성과를 떨어뜨립니다.
- 목표가 구체적이고 도전적일수록 동기와 몰입이 높아집니다.
- OKR/KPI와 피드백 면담은 목표설정 이론을 적용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명확한 기준과 정기적 피드백만으로도 팀은 훨씬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팀 목표는 얼마나 구체적이고, 얼마나 도전적인가요?
[ 전체 글은 블로그 참조: https://blog.naver.com/bsc_hr/224067585875 ]
(글: 비에스씨 연구소)



